analyser_hj3415 2.6.5__py2.py3-none-any.whl → 2.6.6__py2.py3-none-any.whl
This diff represents the content of publicly available package versions that have been released to one of the supported registrie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diff is provided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and reflects changes between package versions as they appear in their respective public registries.
- analyser_hj3415/analysers/eval.py +7 -22
- analyser_hj3415/cli.py +1 -1
- analyser_hj3415/tools.py +0 -35
- {analyser_hj3415-2.6.5.dist-info → analyser_hj3415-2.6.6.dist-info}/METADATA +2 -2
- {analyser_hj3415-2.6.5.dist-info → analyser_hj3415-2.6.6.dist-info}/RECORD +8 -8
- {analyser_hj3415-2.6.5.dist-info → analyser_hj3415-2.6.6.dist-info}/LICENSE +0 -0
- {analyser_hj3415-2.6.5.dist-info → analyser_hj3415-2.6.6.dist-info}/WHEEL +0 -0
- {analyser_hj3415-2.6.5.dist-info → analyser_hj3415-2.6.6.dist-info}/entry_points.txt +0 -0
@@ -84,21 +84,6 @@ def mil(code: str) -> dict:
|
|
84
84
|
'가치지표': {'FCF': fcf_dict, 'PFCF': pfcf_dict, 'PCR': pcr_dict},
|
85
85
|
'date': [각 유효한 값의 년월값 리스트(ex- 2020/09)],
|
86
86
|
}
|
87
|
-
|
88
|
-
FCF는 영업현금흐름에서 자본적 지출(유·무형투자 비용)을 차감한 순수한 현금력이라 할 수 있다.
|
89
|
-
말 그대로 자유롭게(Free) 사용할 수 있는 여윳돈을 뜻한다.
|
90
|
-
잉여현금흐름이 플러스라면 미래의 투자나 채무상환에 쓸 재원이 늘어난 것이다.
|
91
|
-
CAPEX(Capital expenditures)는 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된 비용을 말한다.
|
92
|
-
이는 기업이 고정자산을 구매하거나, 유효수명이 당회계년도를 초과하는 기존의 고정자산에 대한 투자에 돈이 사용될 때 발생한다.
|
93
|
-
|
94
|
-
잉여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일때는 설비투자가 많은 시기라 주가가 약세이며 이후 설비투자 마무리되면서 주가가 상승할수 있다.
|
95
|
-
주가는 잉여현금흐름이 증가할때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
96
|
-
fcf = 영업현금흐름 - capex
|
97
|
-
|
98
|
-
가치지표평가
|
99
|
-
price to fcf 계산
|
100
|
-
https://www.investopedia.com/terms/p/pricetofreecashflow.asp
|
101
|
-
pcr보다 정확하게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수 있음. 10배이하 추천
|
102
87
|
"""
|
103
88
|
c103q = myredis.C103(code, 'c103현금흐름표q')
|
104
89
|
c104q = myredis.C104(code, 'c104q')
|
@@ -114,12 +99,12 @@ def mil(code: str) -> dict:
|
|
114
99
|
d3, 영업활동현금흐름 = c103q.sum_recent_4q('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
115
100
|
|
116
101
|
d4, roic = c104q.sum_recent_4q('ROIC')
|
117
|
-
_, roic_dict = c104q.
|
102
|
+
_, roic_dict = c104q.find_without_yoy('ROIC')
|
118
103
|
d5, roe = c104q.latest_value_pop2('ROE')
|
119
104
|
roe106 = c106q.find('ROE')
|
120
105
|
d6, roa = c104q.latest_value_pop2('ROA')
|
121
106
|
|
122
|
-
_, pcr_dict = c104q.
|
107
|
+
_, pcr_dict = c104q.find_without_yoy('PCR')
|
123
108
|
|
124
109
|
try:
|
125
110
|
주주수익률 = round((재무활동현금흐름 / marketcap억 * -100), 2)
|
@@ -186,10 +171,10 @@ def blue(code: str) -> dict:
|
|
186
171
|
logger.debug(f'유동비율 {유동비율} / [{d1}]')
|
187
172
|
|
188
173
|
c104y = myredis.C104(code, 'c104y')
|
189
|
-
_, dict이자보상배율y = c104y.
|
190
|
-
_, dict순운전자본회전율y = c104y.
|
191
|
-
_, dict재고자산회전율y = c104y.
|
192
|
-
_, dict순부채비율y = c104y.
|
174
|
+
_, dict이자보상배율y = c104y.find_without_yoy('이자보상배율')
|
175
|
+
_, dict순운전자본회전율y = c104y.find_without_yoy('순운전자본회전율')
|
176
|
+
_, dict재고자산회전율y = c104y.find_without_yoy('재고자산회전율')
|
177
|
+
_, dict순부채비율y = c104y.find_without_yoy('순부채비율')
|
193
178
|
|
194
179
|
c104q = myredis.C104(code, 'c104q')
|
195
180
|
d6, 이자보상배율q = c104q.latest_value_pop2('이자보상배율')
|
@@ -236,7 +221,7 @@ def growth(code: str) -> dict:
|
|
236
221
|
c104y = myredis.C104(code, 'c104y')
|
237
222
|
c106y = myredis.C106(code, 'c106y')
|
238
223
|
|
239
|
-
_, dict매출액증가율y = c104y.
|
224
|
+
_, dict매출액증가율y = c104y.find_without_yoy('매출액증가율')
|
240
225
|
|
241
226
|
c104q = myredis.C104(code, 'c104q')
|
242
227
|
d2, 매출액증가율q = c104q.latest_value_pop2('매출액증가율')
|
analyser_hj3415/cli.py
CHANGED
@@ -2,7 +2,7 @@ import argparse
|
|
2
2
|
import os
|
3
3
|
|
4
4
|
from utils_hj3415 import noti, utils
|
5
|
-
from utils_hj3415.
|
5
|
+
from utils_hj3415.helpers import SettingsManager
|
6
6
|
from analyser_hj3415.myredis import red_ranking, mil_n_score, red_n_score
|
7
7
|
from db_hj3415 import myredis
|
8
8
|
|
analyser_hj3415/tools.py
CHANGED
@@ -167,27 +167,6 @@ def calc유동비율(code: str, pop_count: int) -> Tuple[str, float]:
|
|
167
167
|
return 유동비율date, 유동비율value
|
168
168
|
|
169
169
|
|
170
|
-
"""
|
171
|
-
FCF는 “Free Cash Flow”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자유 현금 흐름”이라고 합니다. FCF는 기업이 운영 활동을 통해 창출한 현금 중에서 영업 및 자본적 지출을
|
172
|
-
제외하고 남은 현금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자유 현금 흐름은 기업이 부채를 상환하고, 배당금을 지급하며,
|
173
|
-
추가적인 투자를 할 수 있는 자금을 나타냅니다.
|
174
|
-
|
175
|
-
FCF의 중요성
|
176
|
-
|
177
|
-
1. 재무 건전성 평가: FCF는 기업이 실제로 얼마나 많은 현금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
178
|
-
2. 투자 결정: 투자자들은 FCF를 통해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참고합니다.
|
179
|
-
3. 배당 지급 능력: FCF는 기업이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
180
|
-
4. 부채 상환: 기업은 FCF를 이용해 부채를 상환하고, 재무 구조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181
|
-
|
182
|
-
CAPEX는 “Capital Expenditures”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자본적 지출”이라고 합니다. CAPEX는 기업이 장기 자산을 구입하거나 유지하는 데 사용하는
|
183
|
-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자산을 확장, 업그레이드 또는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입니다. 이러한 자산에는 부동산, 건물, 기계,
|
184
|
-
장비 등이 포함됩니다.
|
185
|
-
|
186
|
-
CAPEX가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업종에서도 자유 현금 흐름(Free Cash Flow, FCF)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CAPEX가 없는 경우,
|
187
|
-
계산식에서 CAPEX 부분을 0으로 처리하면 됩니다.
|
188
|
-
"""
|
189
|
-
|
190
|
-
|
191
170
|
def findFCF(code: str) -> dict:
|
192
171
|
"""
|
193
172
|
FCF 계산
|
@@ -229,20 +208,6 @@ def findFCF(code: str) -> dict:
|
|
229
208
|
return dict(sorted(r_dict.items(), reverse=False))
|
230
209
|
|
231
210
|
|
232
|
-
"""
|
233
|
-
PFCF의 중요성
|
234
|
-
1. 기업 가치 평가: PFCF는 기업이 창출하는 현금 흐름에 비해 주가가 적정한지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낮은 PFCF는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음을 나타낼
|
235
|
-
수 있고, 높은 PFCF는 주가가 상대적으로 고평가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236
|
-
2. 투자 결정: 투자자들은 PFCF를 사용하여 현금 흐름 창출 능력 대비 주가가 매력적인지를 판단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참고합니다.
|
237
|
-
3. 비교 분석: 같은 산업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여, 어느 기업이 더 효율적으로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238
|
-
|
239
|
-
PFCF의 한계
|
240
|
-
|
241
|
-
•산업 특성: PFCF는 산업마다 적정한 수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 산업과 제조 산업의 적정 PFCF는 다를 수 있습니다.
|
242
|
-
•일회성 항목: 특정 연도의 일회성 비용이나 수익이 FCF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PFCF 계산에 왜곡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243
|
-
"""
|
244
|
-
|
245
|
-
|
246
211
|
def findPFCF(code: str) -> dict:
|
247
212
|
"""Price to Free Cash Flow Ratio(주가 대비 자유 현금 흐름 비율)계산
|
248
213
|
|
@@ -1,11 +1,11 @@
|
|
1
1
|
Metadata-Version: 2.1
|
2
2
|
Name: analyser_hj3415
|
3
|
-
Version: 2.6.
|
3
|
+
Version: 2.6.6
|
4
4
|
Summary: Stock analyser and database processing programs
|
5
5
|
Author-email: Hyungjin Kim <hj3415@gmail.com>
|
6
6
|
Description-Content-Type: text/markdown
|
7
7
|
Classifier: License :: OSI Approved :: MIT License
|
8
|
-
Requires-Dist: utils-hj3415>=2.
|
8
|
+
Requires-Dist: utils-hj3415>=2.8.0
|
9
9
|
Requires-Dist: db-hj3415>=3.7.3
|
10
10
|
Project-URL: Home, https://www.hyungjin.kr
|
11
11
|
|
@@ -1,14 +1,14 @@
|
|
1
1
|
analyser_hj3415/.DS_Store,sha256=qr9-0FPn5CFKe6kEu8_dWCNhzQ0sN7bwQgffKsaJEEo,6148
|
2
2
|
analyser_hj3415/__init__.py,sha256=47DEQpj8HBSa-_TImW-5JCeuQeRkm5NMpJWZG3hSuFU,0
|
3
|
-
analyser_hj3415/cli.py,sha256=
|
3
|
+
analyser_hj3415/cli.py,sha256=eLo3U2VpBXVFwCCwxvge-nLc6wEeWWCbcORHRFELAFs,7356
|
4
4
|
analyser_hj3415/myredis.py,sha256=PUFMgLUToNHcfBjO272B_hy0xh8FDNm3SfcKsUthlWs,9640
|
5
|
-
analyser_hj3415/tools.py,sha256=
|
5
|
+
analyser_hj3415/tools.py,sha256=lyfvmze9e4lGqgimuVOXUbgt7YNaJ7h8PpC7dWaaW94,10942
|
6
6
|
analyser_hj3415/trash.py,sha256=zF-W0piqkGr66UP6-iybo9EXh2gO0RP6R1FnIpsGkl8,12262
|
7
|
-
analyser_hj3415/analysers/eval.py,sha256=
|
7
|
+
analyser_hj3415/analysers/eval.py,sha256=shQAU9-vlCKXv1VMTolIYB2Q3tm8ff9gD8Qbf2UX-ZA,11902
|
8
8
|
analyser_hj3415/analysers/report.py,sha256=yY-AeDHOqDPrm4lpvZv3NPTJK1Z7lKsjoO5ck8AP6u4,9007
|
9
9
|
analyser_hj3415/analysers/score.py,sha256=_TbU0Zgr14qT5tC-5o5Hphg94TJkZQo_p8AP10GDZQg,19772
|
10
|
-
analyser_hj3415-2.6.
|
11
|
-
analyser_hj3415-2.6.
|
12
|
-
analyser_hj3415-2.6.
|
13
|
-
analyser_hj3415-2.6.
|
14
|
-
analyser_hj3415-2.6.
|
10
|
+
analyser_hj3415-2.6.6.dist-info/entry_points.txt,sha256=ZfjPnJuH8SzvhE9vftIPMBIofsc65IAWYOhqOC_L5ck,65
|
11
|
+
analyser_hj3415-2.6.6.dist-info/LICENSE,sha256=QVKTp0dTnB5xG8RLgG17LwSWCKNEzYoVVM6KjoCPKc0,1079
|
12
|
+
analyser_hj3415-2.6.6.dist-info/WHEEL,sha256=Sgu64hAMa6g5FdzHxXv9Xdse9yxpGGMeagVtPMWpJQY,99
|
13
|
+
analyser_hj3415-2.6.6.dist-info/METADATA,sha256=vlVhFHKipBkPMLHM1ChqNrGyAbJKdGO3YqyuiQQteRA,6417
|
14
|
+
analyser_hj3415-2.6.6.dist-info/RECORD,,
|
File without changes
|
File without changes
|
File without chang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