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ylla 0.7.0 → 0.7.5

Sign up to get free protection for your applications and to get access to all the features.
Files changed (38) hide show
  1. data/lib/scylla/classifier.rb +3 -4
  2. data/lib/scylla/generator.rb +4 -7
  3. data/lib/scylla/lms/afrikaans.lm +280 -280
  4. data/lib/scylla/lms/arabic.lm +225 -225
  5. data/lib/scylla/lms/bulgarian.lm +208 -208
  6. data/lib/scylla/lms/catalan.lm +212 -212
  7. data/lib/scylla/lms/chinese.lm +201 -201
  8. data/lib/scylla/lms/danish.lm +155 -155
  9. data/lib/scylla/lms/english.lm +207 -207
  10. data/lib/scylla/lms/finnish.lm +259 -259
  11. data/lib/scylla/lms/french.lm +203 -203
  12. data/lib/scylla/lms/german.lm +280 -280
  13. data/lib/scylla/lms/greek.lm +276 -276
  14. data/lib/scylla/lms/hebrew.lm +170 -170
  15. data/lib/scylla/lms/hindi.lm +241 -241
  16. data/lib/scylla/lms/icelandic.lm +264 -264
  17. data/lib/scylla/lms/indonesian.lm +272 -272
  18. data/lib/scylla/lms/italian.lm +283 -283
  19. data/lib/scylla/lms/japanese.lm +105 -105
  20. data/lib/scylla/lms/korean.lm +400 -400
  21. data/lib/scylla/lms/norwegian.lm +235 -235
  22. data/lib/scylla/lms/polish.lm +264 -264
  23. data/lib/scylla/lms/portuguese.lm +269 -269
  24. data/lib/scylla/lms/romanian.lm +278 -278
  25. data/lib/scylla/lms/russian.lm +127 -127
  26. data/lib/scylla/lms/slovak.lm +281 -281
  27. data/lib/scylla/lms/slovenian.lm +276 -276
  28. data/lib/scylla/lms/spanish.lm +190 -190
  29. data/lib/scylla/lms/swedish.lm +195 -195
  30. data/lib/scylla/lms/tagalog.lm +282 -282
  31. data/lib/scylla/lms/thai.lm +257 -257
  32. data/lib/scylla/lms/turkish.lm +300 -300
  33. data/lib/scylla/lms/vietnamese.lm +277 -277
  34. data/lib/scylla/lms/welsh.lm +271 -271
  35. data/scylla.gemspec +3 -22
  36. data/source_texts/korean.txt +219 -134
  37. metadata +15 -14
  38. data/scylla-0.6.0.gem +0 -0
@@ -1,12 +1,6 @@
1
- # Generated by jeweler
2
- # DO NOT EDIT THIS FILE DIRECTLY
3
- # Instead, edit Jeweler::Tasks in Rakefile, and run 'rake gemspec'
4
- # -*- encoding: utf-8 -*-
5
-
6
1
  Gem::Specification.new do |s|
7
2
  s.name = %q{scylla}
8
- s.version = "0.7.0"
9
-
3
+ s.version = "0.7.5"
10
4
  s.required_rubygems_version = Gem::Requirement.new(">= 0") if s.respond_to? :required_rubygems_version=
11
5
  s.authors = ["Ashwin Hegde"]
12
6
  s.date = %q{2011-09-21}
@@ -24,20 +18,7 @@ Gem::Specification.new do |s|
24
18
  s.require_paths = ["lib"]
25
19
  s.rubygems_version = %q{1.5.3}
26
20
  s.summary = %q{Ruby port of Textcat language guesser}
27
-
28
- if s.respond_to? :specification_version then
29
- s.specification_version = 3
30
-
31
- if Gem::Version.new(Gem::VERSION) >= Gem::Version.new('1.2.0') then
32
- s.add_development_dependency(%q<bundler>, ["~> 1.0.0"])
33
- s.add_development_dependency(%q<jeweler>, ["~> 1.6.4"])
34
- else
35
- s.add_dependency(%q<bundler>, ["~> 1.0.0"])
36
- s.add_dependency(%q<jeweler>, ["~> 1.6.4"])
37
- end
38
- else
39
- s.add_dependency(%q<bundler>, ["~> 1.0.0"])
40
- s.add_dependency(%q<jeweler>, ["~> 1.6.4"])
41
- end
21
+ s.add_dependency(%q<bundler>, ["~> 1.0.0"])
22
+ s.add_dependency(%q<sanitize>, ["~> 2.0.0"])
42
23
  end
43
24
 
@@ -1,134 +1,219 @@
1
- �� ������ ���� 87�� 1�� 9�� ������ ���ؾ���Ʈ �α� �������ѱ����� �ƽ���
2
- �� ��õ �߾ӱ溴�� =������ 2�� ���� 10�� ������ ������� ���� 1�� �밭�翡��
3
- 7������ 8.9% �����ߴ�.
4
-
5
-
6
- �������� ���ǵ��� ��� ����� ������ ��ġ�� �º�, ȭ���� ���� ���ð�
7
- <��������> �����Ϸ� ���Ĺ� �ݾ������ա����ǿ���Ÿ��������Ÿ�������û=
8
-
9
- �ϳ��� ���������� �������ϸ鼭 ������ '��'�ڿ� ������ '��'�ڸ� ��� ��������
10
- ������� ���� 8�� ��⵵ ����ȯ�濬������ ����˻翡�� ���ġ�� �Ѿ
11
-
12
- �ǹ̰� �ִٰ� ����"�� "���� ����� �� �簡 ������ ������ ���� ����鿡��
13
- ��ȸâ ���� ü���� �����Ų��. ���ѱ����� �̸� ���� �� ������ �غ�,������
14
-
15
- �ϳ��� ������.
16
- �ϳ��� ������.
17
-
18
-
19
- ���������� �����ϰڴ�'�� ����ߴ�" �� ���ߴ�.
20
- �̵� ��ü�� 95�� 11�� ����û�� �䱸�� ���� '���� �� 6���� �ȿ� �˴�������
21
- �뼱������ �ߴ��� ��ȯ���� �°� �ִ�. ���ѱ����� 30�� �뱸 �� ���ȸ����
22
-
23
- 3����(�� 2��5õ��)���� �ö���. ��032(468)8182
24
-
25
- ���̴�.
26
- �ִٰ� ������ �ȱ������ ���ߴ�.
27
-
28
- �� ������ ���� 87�� 1�� 9�� ������ ���ؾ���Ʈ �α� �������ѱ����� �ƽ���
29
-
30
- �ڵ������뵵�� ���縦 �����ߴ�. 2000 ��� �ڵ������뵵�ΰ� �ϰ��Ǹ� â��IC��
31
-
32
- < �������� >
33
- �ִ�"�� ���ߴ�. ������ �߷����� �����ѵ� �����ʺ� �� �����غ� �ϰ��ִٴ�
34
-
35
-
36
-
37
- ����ô� 29�� ����Ʈ �� ���������� ������ �ҹ����� ����ģ �� ���� ������
38
- Ź�Ƽ� ���� ã�ƴٴϸ� �������¸� �����ϰ� �ҼҾ����� �Ļ� �Ŀ� ��ġ����
39
- ���Ƿ� ������ ��ܹ������������� ���� ��ȭü������ ���İ����� �޴� ���ѱ�������ǰ���Ͱ�
40
-
41
- ����������ں���ȸ ������������ȸ=������ ����ܿ����� ��־� ���� 1�Ϻθ�
42
-
43
- �����Ӵ�ȸ �Ҽ� ��Ӵϵ��� �л���� �Բ� ���� �� ���� �� �̸��� '��ӴϿ�
44
-
45
- ���� ���������� ����� ���. â�������� ����ϰ� �� �� �������뵵�δ�
46
- ��ȣź�� ������ �մϴ�."
47
-
48
- ���񽺿� ��Ʈ�÷��̿��� �� �� ���� �ⷮ�� �����ϸ� US���� è�Ǿ� ��Ʈ��
49
- �����Ͽ� ���Դ���� ���� ������ �ľǵƴٰ� ���� ���� ������.
50
-
51
- �ڸ��ű�� ���� �и��ϴ�. �� ��� �� �� ���󿡼� �Ͼ ȯ�� ����� �̿�
52
- ��Ȱ��ǰ ���� ����. ��, �峭��, å, �׼����� ��. ��032(653)6131��2
53
- �ǹ̰� �ִٰ� ����"�� "���� ����� �� �簡 ������ ������ ���� ����鿡��
54
-
55
- �����߰��� '�̻� ����'
56
- �dzʴ� �� ���� �Բ� ��ϵ� �ִ�. �̿��Բ� ������ ���зθ� ����� �ִ�
57
- �����̾��ٸ� �ƿ� �����㰡�� ���� �ʾ��� ���̴�. ����� ��Ű�� ���� ����
58
- ���ᱹ���� ���뷮�� �л��Ű�� ���� �ѻ���� 9������ �鿩�� �����ֽ�
59
-
60
- "�츮 ���̵��� �� �� �����ϰ� �б��� �� �� �ֵ��� ���� �;����� ��."�ʵ��б�
61
-
62
- ��� ������ �ڸ��� �Ͽ��� �� �ӽð������� ��ü�ϰ� �ִ�.
63
- ������� ���� 8�� ��⵵ ����ȯ�濬������ ����˻翡�� ���ġ�� �Ѿ
64
-
65
-
66
- ó�� 10���̴� ȸ���� ������ 40��.
67
-
68
- �� ������ 3�鸸������ �����Ǹ� �������� 8.25%, ������ 3�� �յ� ���һ�ȯ
69
-
70
- �dzʴ� �� ���� �Բ� ��ϵ� �ִ�. �̿��Բ� ������ ���зθ� ����� �ִ�
71
-
72
-
73
-
74
-
75
- ������ġ�� ����Ű�� �ߴ�.
76
- ����ô� ���� ���� 6���� 1460�⿡ ó�� ���������, ���� �� ��簡 ����
77
-
78
- ���� ������ ��ݿ� �鶰 �ִ� �ֹε��� �� ��ü�� �̻������� ��Ÿ���� ����
79
- �Ծ��س��� ������ ���� �� ���� ��"�̶�� ���ߴ�. <�����Ʊ���>
80
-
81
- ��ȣź�� ������ �մϴ�."
82
-
83
- ���� �� ��ȹ�̴�.
84
-
85
-
86
-
87
-
88
-
89
- �ɴٹ��� �dzװ� ���ΰ����� ��ġ�� �̰߰� ȯ ���ߴ�. 1�鿩 ����������
90
-
91
- ��ݿ��� �� �پ��� ���Ÿ��� �����Ѵ�.
92
- DJP�ĺ� ����ȭ�� ����Ű�� ���� ��, �뼱������ ū ������ �������� �ִ�
93
- ������ �� ���� ����å�� �����ϰڴ�}�� ������.
94
-
95
- ȸ��� ������ �� �ֺ� ȫ����(38��������걸 ���̵�)���� "�� ���� �Ǿ���
96
- �ֻ繫������ "���������� ���� �ڷ������ ��̵��� ���� ������ �� �����ν�
97
-
98
- ���ߴ�.
99
-
100
- ������ ã�� �ֹε��� �þ�鼭 �ߵ�� ���� �ֹε��� ��ħ�� �������
101
- ���� ������ ��Ȱ������ ����ٴ� ��ħ�̴�. â��-���� ������ ��ɻ�, õ����
102
-
103
- < �������� >
104
-
105
- �߻��� ���� �ִ� ������ ������ ����� �ϴµ�, �ǿܼ��� ��� 3���� �״Ͻ���Ʈ��
106
- �����Ӵ�ȸ �Ҽ� ��Ӵϵ��� �л���� �Բ� ���� �� ���� �� �̸��� '��ӴϿ�
107
- '�ȴ���'�̶�� �ٸ��� �־��µ� �����ֶ� �� ��õ�λ� ��μ��� �� �ٸ�����
108
- �λ� 4õ5���, ��õ 8õ5���, ��⵵ 2��8õ���� �� �� 10��5õ������ ������
109
-
110
- öȸ�� ���� �ٽ��ѹ� �˱��ߴ�.
111
-
112
-
113
- ���ߴ�.��032(505)2870
114
-
115
- �����ǥ�� ȣ���� ���� ������ ������ ��ġ�� ���� ������ ���� ��� ���
116
-
117
- ������ {�ȱ�� ��� �̵��� ������ü����-��øȰ�� ���� ������ ��ġ�ؿ�����
118
- [�������� �ͱ�] ������ "���μ����� �¸� ������"
119
- �������� �Ʒ� �� ������ �����̴�.<���������>
120
- �ֱ��� ũ�� �����ƴٰ� �Ѵ�.
121
- ��Ʈ ������(�̱�)�� '97�׷��彽�����״Ͻ���ȸ(�ѻ�� 6�鸸�� ��)����
122
- < �ڿ�ö���� >
123
- ���������ڿ��Դ� ����������� 10������, �������߻���� �� �� ���ִ�å��
124
- �����:�� ���̽���ũ
125
- 12�� 24�� ������.
126
- �л���� ��Ӵϵ��� �ùδ�ü�� ���� ��� �б��� �� �� �̸� �����ϰ� �ٴ�
127
- ä ���ϸ� ���� �ִ�.
128
- �� ��õ�� ������ȭȸ�� =������ 2�� �� 12�� ȸ�� �Ұ��翡�� '�������簭��'��
129
- ���߰� �ִ�. Ư��Ȱ�� �ι������� ����� �� �ع��� �ΰ��� ��Ÿ���� �ִ�.
130
- ���� �ռ������ Ÿ��ȣ�ڷ� ������. �������� 30�Ϻ��� UAE���� ���,
131
-
132
- ���ǿ��� "�̵� �׺귡��ī�� ������ ��κ� �����˻縸���� ���������,
133
- ������ ���̰ڴ�.
134
- �� �������� ���� �־Ȼ��̶� �Ҹ��� ������ ������ �ؿ� �־� �־ȸ��� �߽���������
1
+ 범고래의 분포도
2
+
3
+ 사람과의 크기 비교
4
+ 범고래(학명:Orcinus orca)는 참돌고래과에 속하는 고래 중 큰 종이자, 극지방에서 열대지방에 이르기까지 널리 발견되는 이빨고래이다.
5
+ 범고래는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포식자이다. 이들의 주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물고기를 주로 먹는 무리들이 있는가 하면 바다사자와 심지어 다른 고래를 포함한 젖먹이 동물을 사냥하는 무리도 있다. 범고래는 크게 다섯 종류로 나뉘며 이들을 아종이나 다른 종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범고래는 매우 사회적인 동물이며 상당히 안정된 모계 사회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2] 사회행동과 사냥법 및 독특한 노래는 범고래들 특유의 문화를 보여 준다.[3]
6
+ 비록 범고래는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놓이지는 않으나 몇몇 지역군에서는 존망 위기를 맞고 있는데 주로 해양오염과 먹이의 감소, 어선과의 충돌이 그 까닭이다. 야생범고래는 보통 인간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여겨지지는 않으나[4], 해양공원에서 사육된 범고래가 조련사 등을 공격한 사례는 몇 건 있다.[5]
7
+ 목차 [숨기기]
8
+
9
+
10
+ 범고래속의 유일한 종인 범고래는 1758년에 린네가 처음으로 분류하였다.[6] 범고래는 돌고랫과의 35종 가운데 하나이다. 향고래가 향고래속에 유일하게 속하는 것처럼 범고래도 범고래속에 속하는 그 수가 많은 종이다. 따라서 고생물학자들은 범고래가 계통분화 없이 선대에서 후대로 진화되었다고 추측한다. 만일 그렇다면, 범고래는 가장 오래된 돌고래라 할 수 있게 된다. 범고래는 상위의 참돌고랫과[모호한 표현]보다는 오래되지 않을 것이나, 최소한 5백만 년이 될 것임을 짐작하게 한다.
11
+ 어쨌든 현재 범고래는 3가지에서 5가지로 나뉜다. 그들의 차이는 서로 큰 편이며 아종으로 구분하거나 심지어는 다른 종으로 여기기도 한다. 북미의 해안에서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세 종류가 있다.
12
+ 비이주성: 북동아메리카 해안에서 흔히 관찰되는 종류이다. 주식은 물고기와 오징어 등이며 무리 안에서는 복잡하고 연대 깊은 가족 관계를 형성한다. 종종 거대한 모계 사회를 이루며 서로 독특한 방언의 노래를 이용한다. 비이주성 범고래 무리의 중심은 어미이며 10살 이하의 새끼 및 다 자란 자식들이 구성원이다. 암컷들은 자신의 새끼를 낳기 위해 서서히 어미와 멀어지지만, 수컷들은 어미 곁을 평생 따라다니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짝짓기를 위해 잠시 무리를 떠나지만, 그 뒤에는 어미에게로 돌아온다.[7] 암컷들은 대체로 완만하면서 끝이 뾰족한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같은 지역을 자주 방문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와 워싱턴 주 해안에서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연구된 해양 포유류이다. 30년 동안 무려 300마리 이상을 이름 지었다.
13
+ 이주성: 이들의 주식은 대부분이 다른 해양 포유류이며 물고기는 먹지 않는다. 알래스카 주 남부에서는 2마리에서 6마리로 구성되는 작은 무리를 이룬다. 비이주성 무리와 달리 가족끼리 언제나 몰려다니지는 않는다. 이들의 구성원 숫자는 적고 유대감이 덜하며 노래의 방언도 대체로 덜 복잡한 편이다. 암컷의 등지느러미는 비이주성 암컷에 비해 삼각형에 가까운 모양을 띠며, 잿빛으로 보이는 점이나 하얗게 보이는 점이 흩어져 있다. 이들은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며, 알래스카 주 남부에서 캘리포니아 주까지 이동하는 것이 확인된 적이 있다.
14
+ 원양: 1998년에 흑고래 연구자들이 범고래가 원양에서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을 보고하였다. 이들은 원양을 헤엄쳐 다니면서 물고기와 상어, 바다거북을 잡아먹는다. 60마리가 넘는 개체가 무리지어 다니는 것이 목격되었지만 지금은 이들의 행동에 대해서 많이 알려진 바가 없다. 하지만 유전적으로 비이주성, 이주성 범고래와 구분할 수 있다. 원양의 암컷은 둥그런 등지느러미로 구분된다.
15
+
16
+
17
+ 분류 C에 속하는 범고래. 눈주위의 무늬가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18
+ 다른 지역에서의 범고래는 대체로 잘 연구되어 있지 않지만, 개체의 주식과 사회적 행동에는 관련이 깊은 것이 확인되었다.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는 알래스카와 노르웨이 해안의 범고래는 비이주성의 성향을 띠었으며 다른 해양 포유류를 주식으로 하는 아르헨티나 해안의 범고래는 이주성의 성향을 띠었다.[2]
19
+ 성향이 다른 범고래들은 같은 지역에 살 수는 있지만 서로 피하는 경향이 있다. 한때는 이주성 범고래가 비이주성 무리로부터 쫓겨난 개체로 이루어졌다고 여겨졌지만 나중에 이 두 종류의 범고래의 성향이 뒤바뀌는 일은 없음이 확인되었다. 그들이 분화된 것은 2백만 년 전으로 보이며[8], 이 두 종류의 범고래들이 최고 1만 년 동안 서로 섞이지 않았다는 유전자 연구 결과도 있다.[9]
20
+ 남극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종류가 확인되었다.
21
+ 분류 A: 보통의 범고래처럼 생겼으며, 원양에서 주로 쇠정어리고래를 사냥함으로써 살아간다.
22
+ 분류 B: 분류 A보다 작다. 눈 주위에 있는 무늬가 크며, 등은 회색이다. 주로 바다표범을 사냥함으로써 살아간다.
23
+ 분류 C: 분류 B보다도 작으며, 다른 종류의 범고래보다 더 큰 무리를 형성한다. 눈주위의 무늬가 몸에 평행하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있다. 제한적인 종류의 물고기만을 사냥한다.
24
+ 분류 B와 C에 속하는 범고래는 주로 빙산 가까이에 거주하며, 이 지역에 발생하는 조류가 그들을 조금 노랗게 물들일 수도 있다. 이 두 종류가 다른가는 아직까지도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10][11]
25
+ [편집]이름
26
+ “영어: Orca”는 고대 로마 사람들이 사용한 이름이며, 아마도 고래를 뜻하는 그리스어: ὄρυξ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Orc”는 주로 큰 물고기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었으며 큰 고래나 바다괴물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했다.
27
+ “영어: Killer whale”라고도 하지만 1960년대 이후로는 “Orca”라는 말이 더 널리 쓰이고 있고, 다른 대부분의 유럽계 언어 에서도 “Orca”로 표기된다.
28
+ 한국어로는 흰줄박이돌고래라고도 한다. 여러 나라에서 사용하는 범고래 단어는, 대체로 이들의 폭력성을 암시하는 뜻을 담고 있다.
29
+ [편집]외관
30
+
31
+ 범고래는 까만 등, 하얀 가슴과 옆, 그리고 눈 주위에 있는 흰 무늬로 구분한다. 갓난 새끼는 약간 노란색이나 주황색을 띤다. 그들은 덩치가 크며 커다란 등지느러미를 지니고 있다. 남극에서 서식하는 개체는 회색이나 흰 등을 지니기도 한다. 수컷의 몸길이는 6~10미터 정도이며, 6톤 이상 나가며, 무게 8톤짜리의 개체도 발견되었다. 암컷은 수컷보다 작으며 몸길이 5~7미터 정도이며, 몸무게는 4에서 5톤 정도이다. 보통 다 자란 범고래는 2,585에서 7,257킬로그램 나간다. 가장 큰 범고래는 일본 연안에서 발견되었으며, 몸길이 9.8미터, 몸무게는 8톤이었다.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180킬로그램이며, 몸길이는 2.4미터 정도이다. 범고래가 빨리 이동할 수 있는 것은 그들의 큰 몸집과 강인한 체력 때문이다. 그들의 최고 이동 속도는 시속 56킬로미터였다.
32
+ 돌고래와는 달리 범고래의 가슴지느러미는 크고 둥글다. 수컷의 가슴지느러미는 암컷보다 훨씬 크다. 수컷의 등지느러미 또한 암컷보다 두 배 정도 크며 길쭉한 이등변 삼각형처럼 생겼다. 암컷의 등지느러미는 짧고 둥글다.
33
+ 자란 수컷은 다른 해양 동물과 확실히 구분된다. 하지만 원거리에서 볼 때 범고래 암컷이나 새끼는 범고래붙이, 리소돌고래같은 다른 고래와 혼동될 수 있다.
34
+
35
+
36
+ 범고래의 골격
37
+ 범고래가 수면에 떠오를 등지느러미와 무늬를 드러내므로 이때 범고래의 개체적 특징을 잘 확인할 수 있다. 무늬의 유형, 흉터, 상처 등은 개체들을 구분하기에 충분하다. 범고래가 자주 출현하는 북동부 태평양에서는 각 개체의 사진과 이름이 정렬(整列)된 카탈로그를 보유하고 있다. 이 카탈로그를 이용하여 이 지역에서는 더욱 정확한 개체 숫자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들의 생태와 사회를 잘 이해할 수 있다.
38
+ [편집]생애
39
+
40
+ 암컷은 대체로 15살이 되면 성숙한다. 월경기는 15개월에서 18개월이다. 암컷은 보통 5년마다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비이주성 무리를 조사한 결과 번식은 연중 일어나지만 겨울에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갓난 새끼의 생존률은 매우 낮으며, 한 살이 되기 전까지 절반이 생명을 이어가지 못한다. 어미는 새끼를 최대 2년 동안 수유를 하지만 12개월 뒤에는 딱딱한 먹이를 준다. 수컷을 비롯한 모든 무리의 개체가 새끼를 돌본다.[8]
41
+ 암컷은 대체로 40살까지 새끼를 낳으며, 그동안 평균 5마리의 자식을 둔다. 암컷의 평균 수명은 50살이지만, 70~80살까지 살 경우도 있다. 수컷은 15살에 성적으로 성숙하지만, 보통 21살까지는 번식을 하지 않는다. 수컷은 암컷만큼 오래 살지는 않는데, 평균 수명이 30년이며, 길어봤자 50~60년 정도이다.[7] 하지만 ‘톰’이라는 이름의 수컷은 1843년부터 1932년까지 매년 겨울에 오스트레일리아 해안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로써 최소 89년은 살았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12] 사육되는 범고래의 수명은 훨씬 짧아서 보통 25년 이내이다.[13][14]
42
+ 흰 범고래는 베링해와 세인트로렌스 섬 부근에서 목격되었으며, 러시아 해안에서도 발견되었다. 이들 말고도 전 세계에 발견된 흰 범고래는 외관을 제외하고는 건강 조건 등은 다른 범고래와 차이는 없어 보였다.[15]
43
+ [편집]분포
44
+
45
+
46
+
47
+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서 범고래는 이렇게 뛰어오른다.
48
+ 범고래는 세계의 대양과 대부분의 바다에 분포한다. 고래류 중에는 흔치 않게 아라비아해와 지중해에서도 발견된다. 하지만 그들은 차가운 온도와 극지방을 선호한다. 간혹 수심 깊은 곳에서 발견된 적이 있지만, 연안에서 더 잘 발견된다.
49
+ 범고래의 수가 많은 곳은 캐나다에서 알래스카까지 이어지는 북동 태평양 지역, 아이슬란드 부근, 북부 노르웨이 지역이다. 남극 지방에서는 빙산 부근에서 자주 발견되지만 겨울의 극지방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
50
+ 원양과 열대지방에 서식하는 범고래 숫자는 많지 않지만 분포 영역은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에서 자주는 아니지만 발견되는 것을 봐서 범고래가 따뜻한 수온에서 서식이 가능함을 말해준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지역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 정확한 전 세계 숫자는 집계된 적이 없지만 남극 지방에서는 7~8만 개체, 열대 태평양에서는 8천 개체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한국 연안에서는 문헌상 기록에는 이들이 분포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대대적인 연구가 진행된 적은 없다. 그렇지만 1999년 연안 고래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뒤로 제주도, 독도, 울산 앞바다, 서해 등지에서 그들이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16][17] 어림치를 모두 합하면 전 세계의 범고래 숫자는 10만 마리는 된다고 추측된다.
51
+ 북극 빙산이 빠른 속도로 녹기 시작함에 따라 범고래의 분포 범위는 허드슨만이나 북쪽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출현 빈도도 잦아지고 있다.[18]
52
+ 이주성 범고래의 이동 유형은 알려진 바가 없다. 비이주성 범고래는 사라졌다가 해마다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수십 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잠깐 어디로 사라지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53
+ 연구자들은 2008년 2월 23일 알래스카 해안에서 범고래를 목격했다.[19]
54
+ [편집]주식
55
+
56
+
57
+
58
+ 비이주성 범고래. 등지느러미는 이런 암컷의 특징이다.
59
+ 범고래는 생태계 최상위에 있는 포식자이며, 무리 지어 사냥하기도 하기 때문에 종종 바다의 늑대라고 불린다.[20] 범고래는 하루에 평균 227킬로그램의 먹이를 섭취한다.[21]
60
+ 범고래의 먹이는 다양하지만 어떤 지역의 개체들은 먹이의 종류가 제한되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와 그린란드 연안에 사는 범고래들은 청어를 주로 사냥하며 매해 가을 청어 떼의 이동 경로를 따라다니는 것이 확인되었다. 바다사자를 사냥하기도 한다. 조사에 따르면 북동 태평양에 존재하는 비이주성 범고래군은 65퍼센트의 먹이가 연어이다.[2] 그들이 어린 연어 어군을 공격하지 않고 헤엄쳐 다니는 것이 목격되었다. 그들이 주로 사냥하는 어족의 개체수 감소는 범고래들이 다양한 먹이를 섭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이다.
61
+ 비이주성 범고래가 다른 해양포유류를 사냥하는 것은 목격된 적은 없지만, 그들이 돌고래나 바다사자를 이유 없이 학대해 죽이는 장면은 보고된 바가 있다.[2]
62
+ [편집]물고기와 다른 냉혈 동물
63
+ 30종류의 물고기를 범고래가 먹는데 중에는 연어, 청어, 다랑어, 상어 등이 있다. 심지어는 백상아리 새끼를 사냥하기도 한다.[22] 이미 범고래가 백상아리를 사냥하는 것은 많이 알려져 있으며, 그들의 간을 주로 먹는 것으로 여겨진다.[23] 뉴질랜드에서는 가오리를 사냥하는 것도 목격되었다. 오징어나 문어와 같은 무척추동물이나 바다거북을 포함한 파충류도 그들의 먹이에 포함된다.
64
+ 연어는 혼자 혹은 작은 무리를 지어 사냥한다. 하지만 청어를 사냥하는 방법은 다르다. 범고래 무리들은 청어를 일정지역으로 몰아 때려쳐서 잡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냥법은 노르웨이 해안이나 일부 돌고래에게서만 목격되었다.[24]
65
+ [편집]다른 포유류
66
+ 범고래가 무려 22개 종의 고래류를 사냥한다는 사실이 그들의 위장(胃腸) 분석, 직접 목격 등으로 확인되었다. 범고래 무리는 대체로 자신들보다도 큰 쇠정어리고래나 귀신고래 등을 공격하며, 심지어 경우에 따라서는 향고래나 대왕고래를 습격하기도 한다. 그들은 보통 어리고 약한 개체를 목표로 삼지만 여러 마리가 협동하여 더 강한 개체도 사냥할 수 있다. 하지만 다 자란 수컷 향고래는 범고래에게도 치명적인 적으로 크고 강하기 때문에 피하는 경향이 있다.
67
+ 어린 다른 고래를 사냥할 때는 그들을 어미로부터 떼어놓는 전략을 사용한다. 범고래들은 먹이가 되는 목표를 끈질기게 추적하며, 이에 따라 목표는 고립되고 숨이 부족해 질식사하게 된다. 암컷 향고래는 때때로 무리를 지음으로써 자신들과 새끼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이들이 대형 고래를 사냥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동족끼리 서로 잡아먹는 것 또한 보고된 적이 있다.[20]
68
+ 범고래의 먹이가 되는 해양 포유류는 바다표범, 바다사자 등이 있다. 바다코끼리나 해달은 크게 선호하지 않는다. 범고래는 목표를 찾고 제압하기 위해 복잡한 전략을 이용한다. 바다사자들은 박치기나 꼬리의 타격으로 제압당한다. 때로는 범고래들은 그들을 던져서 죽이기도 한다. 그들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먹이를 먹기 전에 목표가 그들을 해칠 수 없는지를 확인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목표를 던지거나, 꼬리로 때리기 또는 박치기, 깔아뭉개기 같은 방법을 이용한다.
69
+ 그들이 고도의 사냥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목격되었다. 아르헨티나 해안에서는 범고래는 주로 남아메리카바다사자와 남바다코끼리를 사냥하기 위해 수심이 얕은 지역에도 나타나는데, 바닷가에서 직접 목표를 끌어내기도 한다. 이럴 경우 바닷가에 고립되어 치명적일 수가 있는데 이는 본능에 따른 것이 아니다. 어미들은 새끼에게 사냥법을 가르치기 위해 얕은 바다를 잘 이용한다. 새끼를 가르치기 위해 해안으로 먹잇감을 몰고 필요할 때는 바다로 끌어올 준비를 한다.[8]
70
+
71
+
72
+ 남극의 빙산군 사이를 헤엄치는 범고래. 얼음 위에 고립되어 있는 아델리펭귄 무리가 보인다.
73
+ 빙산 위에 거주하는 바다사자를 사냥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냥법을 이용한다. 목표의 위치를 확인한 후 파도를 일으켜서 목표가 바다로 빠지게 하는 것이다. 그런 뒤에는 다른 범고래가 뒷처리를 한다. 하지만 그렇게 함으로써 반드시 목표를 죽이지는 않는데, 아마도 새끼에게 사냥법을 가르치는 과정에서 살려 주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25]
74
+ 범고래가 사슴, 엘크 같은 육상 포유류를 사냥하는 것 또한 관찰되었다. 주로 그들이 해안가의 섬 사이를 건널 때 노리는 것으로 여겨진다.[26]
75
+ [편집]조류
76
+ 그들이 펭귄이나 가마우지, 갈매기와 같은 조류를 사냥하는 또한 확인되었다. 사육되는 범고래가 먹이를 내뱉어 갈매기를 유인해 잡아먹고, 다른 개체들이 그 방법을 습득한 경우가 있었다.[27][28]
77
+ [편집]행동
78
+
79
+
80
+
81
+ 이렇게 범고래는 자주 몸을 수면으로 내민다.
82
+ 범고래의 행동은 적어도 두 가지로 나뉜다. 비이주성과 이주성 개체는 행동 방식과 주식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83
+ 그들의 일상생활은 일반적으로 먹기, 이동, 휴식, 사회 활동 등으로 나뉜다. 고도의 사회 활동을 하며, 뛰어오르기, 꼬리치기 등으로 이를 알 수 있다.
84
+ 비이주성 범고래는 이주성 범고래와 달리 돌고래, 바다사자, 바다표범들을 해치지 않고 헤엄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들은 지속적으로 이동하며, 최대 하루 동안 160킬로미터를 이동하기도 하지만 머물고 있는 지역에 몇 달 동안은 관찰될 것이다. 비이주성 무리의 이동 범위는 320킬로미터에서 1300킬로미터까지 다양하다.
85
+ [편집]비이주성 무리의 사회 구조
86
+ 이들은 복잡하지만 아주 안정적인 사회를 형성한다. 비이주성 범고래 무리는 다른 포유류의 사회보다도 더욱 더 안정적이며, 양성의 개체가 평생 어미와 함께 살면서 모계 사회를 형성한다.
87
+ 암컷의 수명이 최대 90년 정도로 긴 편이기 때문에 4대에서 5까지 대가족을 형성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모계선은 상당히 안정적이며, 개체가 이들에게 떨어져 나가는 것은 먹이를 찾거나 짝짓기를 하는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 개체가 무리에서 추방되는 것 또한 확인된 바가 없다.
88
+
89
+
90
+ 몸 전체를 수면위로 올리는 범고래
91
+ 모계를 중심으로 친척이 모이는 경우도 있으며, 개체 수는 무리당 평균 18마리 정도이며, 울음소리에 독특한 방언이 있다. 하지만 먹이 때문에 몇 주 동안 무리가 나뉠 수는 있다. 이들간의 근친 교배는 없으며, 반드시 다른 무리의 개체와 짝짓기를 한다.
92
+ 무리는 최대 50마리의 개체를 포함할 있다. 때때로 무리끼리 모여서 150마리 이상의 군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비이주성 무리는 부(副)무리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암컷의 자식이나 사촌들로 이루어진다.
93
+ 비슷한 방언을 지닌 무리끼리 모여 군락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대개 모계 쪽으로 같은 조상에서 내려온 것이다. 여러 군락이 같은 지역에 서식할 수 있으며, 때로는 같이 이동하기도 한다. 무리가 군락을 형성할 경우는 서로 환영 의식을 행한다.
94
+ 군락의 상위에 있는 최상의 단계는 공동체이다. 이들은 뚜렷한 유대감이 존재하지 않으며 공통된 방언을 쓰지는 않지만, 서로 어울려 다닌다.[29]
95
+ 이주성 무리의 집단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인데, 자식들이 커감에 따라 서서히 모계에서 분화되어 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주성 무리 간에도 깊지는 않지만 방언으로 인해 서로 간의 관계가 성립된다.
96
+ [편집]노래
97
+ 다른 돌고래처럼 범고래 또한 노래를 많이 이용한다.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는 틱틱하는 소리와 휘파람을 주로 사용한다. 활동에 따라 노래는 달라진다. 쉬고 있을 때는 더욱 조용하며, 종종 신호를 보낸다.
98
+ 북동 태평양의 비이주성 범고래는 이주성 개체보다 더욱 노래를 더 많이 이용한다. 비이주성 개체는 다른 해양 포유류를 만날 때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보낸다. 이주성 범고래는 주로 청각이 예민한 다른 포유류를 먹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조용하다. 필요할 때에는 작은 소리를 낸다.
99
+ 비이주성 무리는 독특한 방언을 사용한다. 무리 안의 각 개체는 무리 안에서 쓰이는 독특한 신호를 기억하는 것으로 보인다. 무리마다 독특한 신호가 있어 다른 무리과는 소통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같은 조상에서 분화된 무리 사이에서는 공통되는 신호가 많이 존재할 수 있다.
100
+ 어미는 새끼를 무리의 방언으로 교육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간단한 것으로 시작해서 새끼가 독특한 방언을 점차적으로 익힐 수 있게 한다. 이는 방언은 본능과 동시에 습득되는 것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101
+ [편집]지능
102
+ 범고래가 방언을 사용하는 것과 대대로 습득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은 그들의 문화 중에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고래와 돌고래의 문화”라는 논문[30]에서는 “범고래 무리의 안정된 언어와 행동 문화는 인간 외의 동물이 가진 것들과는 견줄 수 없다.”라고 말하고 있다.
103
+ 1968년에서 1971년까지 미 해군은 워싱턴 주에서 포획된 두 수컷을 군사용으로 활용하려 했지만, 한 마리는 1971년 2월 17일부터 행방 불명이 되었으며, 나머지 한 마리는 1974년에 죽었다.[31] 그 둘의 이름은 각각 소설 《모비 딕》에 나오는 주요 인물인 에이합과 이시마엘이며, 후자가 실종되어 돌아오지 않은 개체의 이름이다.
104
+ [편집]보전 상태
105
+
106
+
107
+
108
+ 어미와 새끼
109
+ 환경 파괴 및 먹이의 감소, 어업과의 충돌, 서식처 조건 악화는 전 세계적으로 그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중대한 요소들이다.[4][2]
110
+ 먹이사슬의 다른 최상위 포식자처럼 범고래는 PCB와 같은 독성 물질이 쌓이는 것에 치명적이다. 워싱턴 주 해안의 개체를 조사한 결과 유럽의 항구물범보다 PCB 축적 농도가 높다고 조사되었다. 노르웨이 연안의 범고래 지방 조직에서의 PCB, 살충제, 방화제 농도가 심지어 북극곰보다도 높다고 나타났다.
111
+ 연어같은 먹이의 감소는 비이주성 무리에게 영향을 준다. 또, 이주성 무리의 먹이인 물범과 바다사자의 개체가 줄어든 것도 확인되었다.[2] 이렇게 먹이가 줄어들면 범고래는 자신의 지방 조직에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밖에 없는데, 이럴수록 범고래는 오염 물질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일부 비이주성 무리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었지만, 눈에 띄게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32]
112
+ 배의 소음 공해와 같은 인간 활동은 범고래의 의사소통을 방해할 수 있다. 연어 농장에서 나는 소리가 물범을 몰아내기 위해 쓰이기도 하였지만, 결과적으로 범고래도 이 지역을 피했다.[33] 여러 나라의 해군이 사용하는 초음파 탐지도 그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34] 범고래는 또한 고래 관찰의 중요한 대상이 되고는 하는데, 배가 무리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거나 이동 경로를 막을 때 스트레스를 주거나 행동 변화를 줄 수 있다.[35]
113
+ 알래스카에서 일어난 기름 유출 사고는 그 지역의 범고래 무리에게 악영향을 끼쳤다. 사고 이후 연어같은 먹이가 줄어들게 되었으며, 이는 그들에게 장기적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 이주성 무리 중 유출 사고에 영향을 받은 개체들이 생식 불능이 됐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이들이 향후에 멸종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36]
114
+ [편집]인간과의 관계
115
+
116
+ 종으로 확인된 것은 1758년이지만, 인간은 오래 전부터 범고래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문헌에서는 기원전 70년경에 나타난다. 이 문헌은 고대 로마에서 다른 고래의 적인 이빨고래(즉 범고래)가 항구에서 학살되는 장면을 기록하고 있다.[37]
117
+ [편집]포경업
118
+
119
+
120
+ 노르웨이 연안에서 헤엄치는 성체 수컷
121
+ 12세기에서 20세기 중반에 개체수가 줄어들 때까지 범고래는 포경의 대상이 되었다. 범고래의 상업적 포경은 1981년에 선포된 포경업 일시 중지로 멈췄다(범고래는 돌고래에 가깝지만 덩치가 크기 때문에 IWC의 제재 대상이 될 수 있었다.).
122
+ 노르웨이는 1938년부터 1981년까지 해마다 평균 56마리를 잡았다. 한편 일본은 1946년부터 1981년까지 해마다 평균 43마리를 잡았다(전쟁 시의 포획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소련은 1980년에 916마리를 잡았지만, 주로 남극에서 적은 숫자만을 포획했다.
123
+ 현재는 어느 나라도 범고래를 대대적으로 포획하지 않는다. 생존을 위한 소규모 포획은 주로 인도네시아와 그린란드에서 이루어진다. 포경업 외에도, 범고래는 어업 활동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살해되어 왔다. 1950년대에는 아이슬란드 해안 조업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정부의 요청에 따라 미군이 폭격기와 저격수를 이용해 범고래 무리를 학살하기도 하였다. 결과는 당시에 성공적이었다고 알려졌지만 과도한 어획을 더 비난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토론은 아직도 지속되고 있으며, 북대서양의 어군 연구를 진행되게 하였다.
124
+ 범고래가 인간의 포경 작업을 돕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대를 무리지어 한 곳으로 몰고, 포경업자에게 고래의 위치를 알리고, 심지어 죽이는 데까지 동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일을 한 범고래로는 1840년부터 1930년까지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해안에서 서식한 톰이라는 수컷이며, 이 개체의 유골은 기념을 위해 이 지역의 고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범고래에 대한 공포는 해양공원의 전시 등으로 많이 사라졌다.
125
+ [편집]사육되는 범고래
126
+ 범고래의 지능 길들이기 쉽다는 것, 생김새, 크기, 사람과 놀아 주기를 좋아하는 성격은 이들을 전 세계 수족관에 곧잘 전시되는 해양 포유류로 만들었다. 이들을 처음으로 기르기 시작한 곳은 1964년 밴쿠버에 있는 수족관이며, 그 뒤로 15년 동안 60에서 70마리의 범고래가 태평양에서 포획되어 길러지게 되었다. 이렇게 사육을 위해 직접 포획됨에 따라 이 지역의 비이주성 무리가 위협을 받고 있다.[8] 1970년대에서 1980년대 초반까지는 주로 아이슬란드 해협에서 채집되었다. 이후 범고래는 인간들의 사육을 통해 성공적으로 번식하였다.
127
+ 범고래 사육은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많은 단체가 이를 막기 위해 계몽 운동을 펼치고 있다. 사육될 때 등지느러미의 붕괴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신체적 이상이 생겼으며, 이는 60-90퍼센트의 수컷에게 관찰되고 있다. 사육되는 범고래는 수명이 야생에서보다 짧으며, 30에서 40년 정도를 사는 경우도 있지만 평균 수명은 20년 정도에 불과하다. 그에 비해 야생에서 암컷은 80년을 사며, 수컷은 60년을 산다. 사육 환경은 야생과 전혀 다르며 보통 다른 사회 무리의 개체와 섞여 사육된다.[38] 야생에 비해 턱없이 작은 수조, 기형적인 사회 구조, 그리고 화학적으로 처리된 물이 그들에게 스트레스를 준다는 비판이 있으며, 그럼으로써 사육상의 범고래는 자기 자신, 다른 범고래나 심지어 사람에게 공격적으로 변모하기도 한다.
128
+ [편집]등지느러미 붕괴
129
+
130
+
131
+ 올랜도의 씨월드에 있는 등지느러미가 붕괴된 수컷
132
+ 사육되는 범고래의 등지느러미 붕괴는 대부분 수컷에게 발생하며, 때때로는 암컷에게도 발생한다. 부분적으로나 한쪽으로 완전히 붕괴되기도 하는데, 이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다. 등지느러미는 콜라겐 조직 때문에 우뚝 설 수 있다.
133
+ 한편에서는 등지느러미 붕괴가 범고래들의 병으로부터 발생되지는 않는다고 하였으며, 대신 콜라겐 조직의 영구적인 변형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원인은 환경과 식성 변경, 단순화된 활동 패턴에 따른 저혈압 또는 콜라겐 조직의 장기적인 열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39] 씨월드의 가설에 따르면, 사육상의 범고래는 자주 물에 떠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콜라겐 조직에 무리가 가서 변형된다고 한다.[40] 고래와 돌고래를 보호하는 사회는 야생보다 턱없이 작은 환경 때문이라고 주장한다.[41] 씨월드에 따르면, 등지느러미의 변형은 각 개체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라고 한다.[40]
134
+ 한편 야생에서는 등지느러미가 붕괴되는 일은 그다지 없으며, 있다 하더라도 배와의 충돌 등에서 생기는 경우뿐이다.[39] 기름 유출 사고 이후 기름에 노출된 개체들의 등지느러미가 붕괴되었으며, 그들은 끝내 죽고 말았다. 해안가에서 고립된 개체들의 등지느러미가 붕괴된 것이 목격된 바가 있지만, 바다로 돌아간 후 원래 모습을 되찾은 것이 확인되었다.[39]
135
+ 뉴질랜드 연안에 서식하는 23퍼센트의 개체가 휜 등지느러미를 가진다고 보고[42][40]되었지만, 이들은 여러 가지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43] 뉴질랜드의 연구에 따르면, 30마리 중 2마리는 몸 전체에 많은 흉터를 지니고 있음이 드러났다.[43] 브리티시 컬럼비아 해안에서의 변형률은 4.7퍼센트이며 노르웨이에서는 0.57퍼센트이다.[43]
136
+ [편집]인간을 공격한 사례
137
+ 드물지만 야생 범고래가 인간에게 해를 끼친 예는 몇 번 확인되었다. 일례로, 알래스카에서 수영을 하던 소년이 범고래에게 쫓긴 사건과 탐험대가 정박하고 있던 얼음을 흔들리게 했던 적이 있다.[44] 범고래에게 쫓긴 소년이 살던 곳은 알래스카에서도 항구물범이 많이 서식하는 지역이며, 범고래는 소년을 물범 중 하나로 오인한 것으로 보인다. 소년을 쫓기는 했었으나 물지는 않았다. 탐험대에게 일어난 사건에는 개가 끄는 썰매가 물범처럼 보여 범고래들을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 상에 돌아다니기도 하는 공격 영상은 조작된 것이 많다.
138
+ 공격 사례는 오히려 사육되는 개체가 저지른 경우가 많다. ABC뉴스는 1970년대부터 24명가량의 인간을 공격했다고 보고했다.[45]
139
+ [편집]다른 공격 사례
140
+ 잘 알려진 공격 사례는 1989년 8월, 씨월드에서 일어났다. 칸두 V라는 힘센 암컷이 새로 들어온 코키 II를 쇼 도중에 공격한 것이다. 코키 II는 태평양 마린랜드에서 들여왔으며, 사건 당시에 큰 소리가 났다. 조련사들이 이 범고래를 진정시키려고 노력했지만 칸두 V의 턱에 있는 동맥은 손상되어 있는 상태였다. 관중들은 공연장 밖으로 대피했으며, 45분 뒤 칸두 V는 사망했다.
141
+ 본 프리(Born Free Foundation)라는 동물 보호 단체에서는 씨월드에 코키 II를 계속 사육하는 것에 대해 비판했으며 씨월드가 코키 II를 브리티시컬럼비아에 있는, 가족이 있는 고향으로 돌려 보내기를 원했다.[46] ‘나무’라는 사육되던 개체는 세균성 감염 때문에 신경계가 손상되었으며, 그에 따라 사람에게 반응하지 않게 되었다. 결국에는 살던 우리에 전속력으로 전진해 요동치다가 몇 분 뒤에 죽었다.[47] 그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뒤에 만들어졌다.[48]
142
+ [편집]문화
143
+
144
+
145
+ 섬을 범고래와 고래가 둘러싸는 모습을 그린 그림
146
+ 북아메리카 북서 지방의 원주민 문화, 종교 관련물에는 범고래가 많이 등장한다.
147
+ 시베리아 유피크 원주민의 전래 동화에 따르면, 늑대와 범고래는 같은 존재로서 겨울이 되면 늑대로 여름이 되면 범고래로 변한다는 믿음이 전해 내려온다.[49][50][51][52] 범고래는 바다에서 바다코끼리를 몰면서 사냥꾼을 돕는다는 믿음이 있다.[53] 그들에 대한 동경은 배에 범고래의 그림을 새기거나 사냥할 때에 그들이 새겨진 나무판을 걸고 다님으로써 표시되었다.[54] 그들에 대한 예의로 담배를 바다에 던지기도 하였다.[53] 범고래가 늑대로 변한 뒤에도 순록을 몰아줌으로써 사냥꾼들을 돕는 것으로 여겨졌다.[52]
148
+ 서방의 문학에서는 Orca라는 이름으로 이따금 등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대개 사람을 해치는 바다괴물로 묘사되었다. 이러한 묘사는 1970년대까지 지속되었다.
149
+ 영화 《오르카》는 인간 때문에 짝을 잃은 수컷이 복수심으로 말미암아 광포하게 행동함을 묘사한다. 이 영화는 오르카가 복수할 수도, 결말에는 끝내 인간을 용서할 수도 있는 지능을 지니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죠스》라는 영화에서는 백상아리를 사냥하는 배의 이름이 “오르카”였다.
150
+ 최근에 그들에 대한 연구가 늘고 해마다 인기가 증가하면서 범고래의 늑대 같은 이미지는 지워져 버렸다. 지금은 바다의 포식자이면서 인간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는 동물로 인식되고 있다.
151
+ 애니메이션 영화 《해피피트》에서는, 주인공 일행을 공격한 2마리의 수컷 범고래를 강력하고 영리한 포식자이자 놀기를 좋아하는 동물로 묘사했으며, 인간이 일으킨 해양 오염의 많은 피해자 중에서 하나로 표현하였다. 이들 중 한 범고래는 프로펠러에 입은 상처를 지니고 있으며, 배에 대한 공포심이 강한 것으로 묘사된다. 범고래의 부정적인 이미지는 수면에서 옅보기, 빙산 흔들기와 먹잇감을 차거나 던지는 데에서 비롯하였다.
152
+ 영화 《프리윌리》는 사육되는 범고래를 놓아 주려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케이코라는 아이슬란드 해협에서 채집된 수컷이 등장한다. 오리건의 수족관에서 재활을 거친 후에 고향으로 되돌아갔지만, 그 뒤에도 인간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었으며, 2003년 12월에 폐렴으로 죽고 말았다.
153
+
154
+ 큰고래(또는 긴수염고래, 학명)는, 수염고래아목에 속하는 고래이다. 대왕고래 다음으로 큰 동물로,[2] 몸길이는 최대 27m이다.[2]
155
+ 몸은 전체적으로 길고 날씬하며, 밤색을 띠고 배 쪽은 색이 옅다. 적어도 두 가지 분명한 아종이 북대서양과 남극에 있다. 전 세계의 대양, 극지방, 열대 지방에 걸쳐 분포하지만 극지방의 빙산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개체 밀도는 온대 지방에서 가장 높다.[3] 무리 지어 다니는 작은 물고기 및 오징어, 크릴새우 같은 갑각류를 먹는다.
156
+ 다른 대형 고래처럼 큰고래 또한 대규모 포경업의 대상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어 IWC에서 포경 제한을 촉구했다.[4] 최근 아이슬란드와 일본에서 임의로 이들을 다시 포획하고 있으며, 2008년도 포획량을 오십 마리로 정했다. 고래잡이뿐만 아니라 선박과의 충돌, 소음 공해가 이들의 생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다.
157
+
158
+ 큰고래는 분류학자들에게 오랫동안 알려져 왔으며, 1675년 프레드릭 마텐즈가 처음 묘사했고,,, 그 뒤인 1725년에 폴 더들리가 다시 설명한 바가 있다. 그들의 묘사는 린네가 묘사한 것에 기초를 했다.[5]
159
+ 큰고래는 수염고랫과에 속하는데, 이 과에는 흑고래, 대왕고래, 쇠정어리고래, 보리고래 같은 대형 고래가 포함되어 있다. 수염고랫과는 수염고래아목에서 분화하여 중신세에 갈라진 것으로 여겨진다.[6] 하지만 정확히 언제 갈라졌는지는 알 수가 없다. 대왕고래와의 잡종이 북대서양에서 드물게 일어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7] 북태평양에서도 잡종이 발견되었다.[8]
160
+ 2006년에는 외형과 노래가 구분되는 아종이 발견되었다. 북방큰고래(B. p. physalus (Linnaeus 1758))가 북대서양에서, 남극큰고래(B. p. quoyi (Fischer 1829))가 남극 지방에서 발견되었다.[9] 많은 전문가들은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큰고래를 이름 붙여지지 않은 세 번째 아종으로 여기고 있다.[3] 전 세계적으로 이들 세 그룹이 섞이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161
+ [편집]외관과 행동 방식
162
+
163
+ 큰고래는 전체적으로 몸통이 길고 날씬하므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암컷과 수컷의 평균 몸길이는 각각 19에서 20미터 정도이다. 북반구에 분포하는 아종은 24미터까지 자랄 수 있으며, 남극 지방의 아종은 최대 26.8미터나 된다.[2] 성체의 몸무게를 직접 계량한 적은 없지만, 추측치로 몸길이 25미터의 개체는 70톤이 나갈 수 있다는 결과가 있다. 완전히 성숙하는 데에는 상당한 기간이 필요한데 25년에서 30년이 걸린다.[10] 최대 94년까지 산 것이 확인된 적이 있다.[10] 갓 태어난 큰고래의 몸길이는 6.5미터 정도이며, 몸무게는 1,800킬로그램 정도이다.[11] 이들의 어마어마한 크기는 그들을 다른 고래들과 구분하기에 충분하며, 때때로 대왕고래나 보리고래 같은 다른 대형 고래와 혼동될 뿐이다.
164
+ 큰고래의 등 부분은 밤회색이며, 배 쪽은 하얗다. 튀어나온 두 쌍의 숨구멍이 있으며, 납작하고 넓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두 개의 밝은 색 문양이 숨구멍 뒤에서 시작해 몸의 측면으로 따라가 꼬리로 이어진다.[2] 오른쪽 턱에 하얀색 무늬가 있으며, 왼쪽은 회색 또는 검은색이다.[11] 이러한 비대칭성은 쇠정어리고래에게도 종종 발견되지만, 큰고래들에게는 비대칭성이 진부하며, 다른 고래에게는 이러한 특성을 찾아볼 수 없으므로 다른 고래들과 구분하는 한 가지 척도가 되고 있다. 비대칭성은 그들이 돌 때 오른쪽으로 돌아 그렇게 됐다는 가설이 있지만, 실제로는 왼쪽으로도 돌기도 한다. 아직까지 이러한 비대칭성을 자세히 설명할 만한 가설은 없다.[12]
165
+ 큰고래는 턱에서 몸 밑의 중앙부까지 이어지는 56에서 100개의 주름을 지니고 있는데, 먹이를 잡을 때 목을 팽창시키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의 등지느러미의 길이는 60센티미터 정도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아주 작으며, 꼬리는 넓고 V자 모양이며 끝은 뾰족한 편이다.[2]
166
+ 이들이 수면에 떠오를 때 분출 후 등지느러미가 곧 보인다. 분출은 수직이며 가늘고 최대 높이는 6미터 정도이다.[11] 수면 위로 떠오를 때 여러 번 분출을 하며, 1.5분 동안 머문다. 꼬리는 언제나 물속에 잠겨 있다. 그들의 잠수 깊이는 최대 250미터이며, 잠수 기간은 10에서 15분이다. 때때로 다른 고래들처럼 점프를 함으로써 몸 전체를 들어 올리고는 한다.[11]
167
+ [편집]생애
168
+ 짝짓기는 겨울에 저위도, 온대 지방에서 일어나며, 임신 기간은 11개월에서 1년 정도이다. 새끼는 출생한 지 6개월에서 7개월 후에 젖을 떼며, 이때의 몸길이는 11~12 미터가 된다. 그 뒤에도 새끼는 먹이를 찾아 어미를 따라다닌다. 암컷은 2~3년에 한 번씩 번식하며, 보통 한 마리씩 출산하지만, 6마리까지 낳은 경우도 있다. 암컷은 3~12년이면 성적으로 성숙한다.[11]
169
+ [편집]먹이
170
+
171
+
172
+ 위에서 내려다본 큰고래
173
+ 큰고래는 수염을 이용해 먹이를 걸러 먹으며, 그들의 먹이가 되는 동물은 작은 물고리, 오징어, 크릴, 갑각류 등이다.[11] 먹을 때는 비교적 빠르게 헤엄치면서(시속 11킬로미터) 동시에 턱을 크게 벌리며,[13] 이에 따라 약 70 세제곱미터의 바닷물을 머금는다. 바닷물을 머금은 후에는 이를 수염을 통해서 뱉어내며, 그 후 입 속에는 먹이가 남는다. 성체는 입의 양쪽에 262에서 473개의 수염판이 있다. 각 판은 케라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부드러운 털 같은 수염이 생성된다. 각 판의 길이는 76센티미터이며, 너비는 30센티미터 정도이다.[2] 이들은 종종 200미터 이상까지 잠수하는데, 여기서 주로 크릴 떼를 섭취한다. 한번 머금을 때마다 10킬로그램 정도의 크릴을 얻을 수 있다.[13] 한 개체는 최대 1,800킬로그램의 먹이를 먹을 수 있으며[2], 그에 따라 과학자들은 이들이 인간과 비슷하게 하루 3시간을 하루에 필요한 만큼의 음식을 섭취하는 데에 사용한다고 결론지었다. 먹이의 밀도가 높지 않거나 너무 깊은 수심에 있으면 더 적절한 먹이를 찾으러 돌아다닌다.[13] 돌고래처럼 큰고래 또한 빠른 속도로 물고기 떼를 한 곳으로 몰아 섭취하는 것이 목격되었다.[2]
174
+ [편집]행동
175
+ 큰고래는 가장 빠른 고래류 중의 하나이며, 시속 최대 37킬로미터까지 속력을 낼 수 있다.[11] 이에 따라 “바다의 그레이하운드”라고 불리기도 한다.[14] 다른 수염고랫과에 속하는 종보다 더 군집하는 경향이 있으며, 보통 6~10마리가 한 그룹을 이루지만, 먹이가 많은 지역에서는 100마리 가량이 한꺼번에 목격된 적도 있다.[10]
176
+ [편집]노래
177
+ 많은 고래류처럼, 수컷이 길면서 크고 진동수가 낮은 소리를 내는 것이 목격되었다.[11] 대왕고래와 큰고래의 노래는 다른 동물의 것보다도 훨씬 낮은 편에 속한다.[15] 대부분의 소리는 인간의 가청 수준 이하부터 그보다 조금 높은 수준이며, 주파수는 16에서 40헤르츠 정도이다. 각 소리는 1에서 2초 정도 지속되며, 의사 표현을 위한 소리의 독특한 조합은 7에서 15분 동안 지속된다. 이들은 며칠 동안 지속된다.[16] 조합의 음향의 크기는 주변 1미터 반경을 기준으로 184~186데시벨이며,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될 수 있다.[17]
178
+ 미국의 생물학자들이 큰고래의 노래를 처음 녹음했을 때는 그 소리가, 고래가 내는 소리라는 사실을 몰랐다. 처음에는 장비의 오작동, 지질 활동, 심지어는 소련의 잠수함 탐지술 때문에 발생한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결국에 생물학자들은 그것들이 큰고래의 노래라는 사실을 밝혀냈다.[15]
179
+ 번식기에 주로 발생하는 것과 수컷만이 노래를 부른다는 사실 때문에 노래가 구애의 수단이라는 추측이 있다.[18][19] 최근 100년 동안 선박 통행의 증가와 해군의 증강이 소음 공해를 일으켜 수컷이 암컷에게 전하는 구애 신호를 방해하여 큰고래의 개체 수 회복 속도가 느려졌을 수 있다는 추론도 있다.[20]
180
+ [편집]서식처와 이동 경로
181
+
182
+
183
+
184
+ 큰고래의 몸길이는 26.8미터까지 이를 수가 있다.
185
+ 다른 수염고랫과의 종들처럼 큰고래는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들은 모든 대양에서 발견되며, 분포 지역은 극지방에서 열대 지방까지로 넓은 편이다. 얼음판이 덮고 있는 극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홍해를 비롯하여 아라비아 해, 지중해 동쪽 및 발트 해에도 분포하지 않는다. 가장 개체 밀도가 높은 곳은 온대 지방과 한대 지방의 바다이다. 열대 지역에서는 많이 분포하지 않는다. 얕은 곳보다는 대륙붕보다 깊은 곳을 선호한다.
186
+ 북대서양큰고래의 분포 범위는 넓은 편으로 멕시코 만에서 지중해, 북쪽으로는 북극해 근처까지 퍼져 있다. 큰고래는 보통 위도 30도 이상의 지역에서 더 많이 분포하지만, 이남 지역에서는 다른 고래와 곧잘 혼동되고는 한다.[21] 선박으로 이루어진 대대적인 조사 결과 북대서양의 아종은 여름에 먹이를 위해 주로 북도 41도 20분에서 51도 사이의 바다를 방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22]
187
+ 북태평양에 분포하는 아종은 여름에 캘리포니아에서 일본까지 펴져 있으며, 북으로는 북극해까지 간다.[23] 그들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은 5월에서 10월까지 알래스카 만과 남동 베링 해이며, 베링 해를 통해 들어가거나 나가기도 한다.[24] 11월과 1월 사이에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추적 장치를 단 개체는 캘리포니아 중부, 오리건, 브리티시컬럼비아, 알래스카 만에서 죽음을 당했다.[23] 하와이에서도 먹이를 위해 5월 중순에 드나드는 것이 목격되었으며, 겨울에도 여러 번 발견되었다.[25] 어떤 연구자들은 이 지역에 그들이 주로 가을과 겨울 사이에 이동해 온다고 주장한다.[26]
188
+ 큰고래가 이주성이라는 것은 확실하지만, 고위도 지방에서 사라지고 들어오는 등 전반적인 이동 경향은 잘 알려진 바가 없다. 조사에 따르면 북대서양에 분포하는 아종은 이들의 남쪽으로의 회유 경로가 가을에 뉴펀들랜드 지역에서 남으로 버뮤다와 서인도제도에 있다고 한다.[27] 고위도 지방에서 연중 내내 머물러 있는 개체도 있다.[27] 태평양의 아종의 이동 패턴은 이해하기가 어렵다. 캘리포니아 만에서 항시 머물러 있지만, 겨울과 봄에는 가파른 개체 증가가 있다.[28] 남극 지방의 아종은 여름에 고위도 지방에 거주하다가 겨울이 되어서 저위도 지방으로 이주하며, 그곳에서 번식을 한다. 그들이 겨울을 어디서 보내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는데, 그들이 주로 원양에 거주함으로써 생기는 연구의 어려움 때문이다.[3]
189
+ [편집]개체 수와 현재 상황
190
+
191
+
192
+
193
+ 접근하는 큰고래
194
+ 그들의 회유 패턴을 이해하기 힘들고 개체 수를 제대로 조사하지 않아 과거와 현재의 개체 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오랫동안 지속된 포경업은 포경업 개시 전 개체 수 짐작을 어렵게 했다. 하지만 개체 수 측정은 그들의 개체 수 회복률을 측정하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
195
+ [편집]북대서양
196
+ 국제 포경 위원회는 북대서양에는 분포하는 아종을 다음과 같은 7가지 그룹으로 나누었다.
197
+ 노바스코샤
198
+ 뉴펀들랜드
199
+ 서그린란드
200
+
201
+
202
+ 페로산 우표에 그려져 있는 큰고래. 2001년 9월 17일에 발행.
203
+ 동그린란드에서 아이슬란드
204
+ 북부 노르웨이
205
+ 영국령 제도-스페인-포르투갈
206
+ 이동 경로를 조사한 결과 어떤 개체는 그룹의 경계를 넘어 이동하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그에 따라 그룹들이 완전히 나누어져 있지 않음이 확인되었다.[22] 시구르욘손(J. Sigurjónsson)은 1995년에 상업 포경 개시 이전의 북대서양 아종의 개체 수를 5만 마리에서 10만 마리로 추산했지만,[29] 그의 연구는 뒷받침하는 자료와 설명 부족 때문에 비판 받고 있다.[3] 한편 1977년에 서전트(D.E. Sergeant)는 3만 마리에서 5만 마리로 추정했다.[30] 그중에서 약 8,000에서 9,000 마리는 뉴펀들랜드와 노바스코샤에 살았으리라 여겨지며, 여름에 이남으로 회유하는 개체 수는 포함되지 않았다.[31][3] 브레이윅(J.M. Breiwick)은 1964년 노바스코샤에서 포경 가능한 개체의 수를 1,500에서 1,600마리로 추정했으며, 1973년에는 325마리로 극감했다고 했다.[32] 1970년대부터 캐나다 상공에서 이루어진 2번의 항공 조사에 따르면 동부뉴펀들랜드에는 79마리에서 926마리,[33] 세인트로렌스 만에는 수백 마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34] 여름에 서부 그린란드에 분포하는 큰고래의 개체 수는 500에서 2,000마리로 추산되며,[35] 1974년에 욘가드(Jonsgard)는 노르웨이 서부와 페로 제도에서는 큰고래의 개체 수가 “전쟁 후 아마도 남획으로 상당히 고갈되었다.”라고 하였다.[36] 아이슬란드 부근에서는 상황이 비교적 나은 편으로, 1981년에 1960년대보다 약간의 감소가 있었을 뿐이다.[37] 1987년과 1989년 사이의 추정에 따르면 그린란드 동부와 노르웨이에는 10,000에서 11,000마리의 큰고래가 있다.[38] 이것은 1976년 추정치인 6,900마리에 비하면 상당한 증가로 여겨지며, 1948년 이후 약간의 감소를 거친 것을 볼 때 의미가 있다.[39] 여름의 영국령 제도-에스파냐-포르투갈에 걸쳐 분포하는 개체의 어림치는 7,500마리이며,[40] 17,000마리 이상으로 추정하기도 한다.[41] 북대서양에 분포하는 개체 수의 총합의 측정치는 다양한데, 40,000마리[42]에서 56,000마리까지 있다.[7]
207
+ [편집]북태평양
208
+
209
+
210
+ 큰고래의 외골격
211
+ 포경 전의 북태평양에는 42,000에서 45,000마리의 큰고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에 동부 지역에는 25,000에서 27,000마리가 있었으리라 여겨진다.[43] 1975년에는 추정치가 8,000에서 16,000으로 급감했다.[44][45] 1991년 및 1993년, 1996년, 2001년에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에는 1,600에서 3,200마리가 있으며, 오리건에는 280에서 320마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6] 〈2005년 미 태평양 해양포유류 개체 수 평가〉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주-오리건 주-워싱턴 주에 분포하는 큰고래의 개체 수는 최소 2,500마리로 추정된다.[47] 베링 해 가까이에 있는 프리빌로프 제도에서 이루어진 조사에 따르면 1975년~1978년과 1987년~1989년에 지역 개체 수가 급증했다고 한다.[48] 1984년에는 북태평양의 개체 수는 포경 전의 숫자의 38퍼센트 미만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49]
212
+ [편집]남극 지방
213
+ 남극 지방에서는 포경 전 개체 수와 현재 개체 수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많이 알려진 바가 없다. 국제 포경 위원회는 남반구에 있던 포경 전 개체 수를 40만 마리로 공식적으로 추산했으며, 여전히 대규모로 포경업이 이루어진 1979년에는 85,200마리로 추정했다.[50] 포경 전 추정치와 현재 추정치는 모두 정확하지 못한 수치로 여겨지고 있는데, 부적절한 측정법과 조작된 자료 때문이다.[3] 다른 통계에 따르면 1980년대 후반과 1990년 전반 사이의 개체 수는 5,000마리를 넘지 않으며, 더 낮게 2,000에서 3,000마리일 수도 있다고 추정하였다.[11] 아직까지 과학적으로 입증될 만한 추정치나 경향은 나오지 않고 있다.[3]
214
+ [편집]인간과의 관계
215
+
216
+ 19세기 초에도 그들에 대한 포경업은 진행되었지만 다른 종에 비해서는 비교적 안전했는데, 그 당시 포경법이 원시적이고 그들이 곧잘 도망치고, 죽더라도 빨리 가라앉아 회수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19세기 중반에 등장한 증기선, 화약을 폭발시켜 작살을 쏘는 효과적인 포경포(捕鯨砲)는 대왕고래, 보리고래, 큰고래 같은 대형 고래를 죽이면서 회수가 용이하였기 때문에 수난이 시작되었다. 남획으로 고래의 숫자가 줄어들면서, 포경업자들은 당시 비교적 풍부한 큰고래로 상대를 돌렸다.[51] 주로 지방질, 고래기름, 고래수염을 얻기 위해 포획되었다. 대략 70만4천 마리가 1904년에서 1975년까지 남극 지방에서 잡혔다.[52] 1925년에 고래를 쉽게 격납할 수 있는 경사진이 포경선에 설치되면서 연당 포획량은 더욱더 증가하였다. 그럼에 따라 1937년 한해에는 무려 28,000마리 이상의 개체가 잡혔다. 1953년부터 1961년까지의 포획량은 연간 평균 25,000마리였다. 1962년부터 큰고래의 개체 수가 감소하자 다른 종으로 관심사를 돌리기도 했다. 1974년까지는 연간 포획량이 1,000마리로 줄어들었다. 1976년 국제 포경 위원회는 남반구에서 큰고래의 포획을 금했다.[52] 북태평양에서는 1947년부터 1987년까지 약 46,000마리가 상업적으로 포획되었다고 보고되었다.[53] 소련이 북반구에서 불법 포경업을 한 사실을 인정한 것을 보면 그보다 많은 수가 잡혔을 것을 의미한다.[54] 북태평양에서는 국제 포경 위원회가 1976년 보호 지침을 내렸으며, 북대서양에는 1987년에 적용되었다.[11] 하지만 원주민들이 소규모로 포경업을 하는 것과 연구 목적의 포획은 허용했다.[11] 전 세계에 분포하는 모든 개체는 미국 수산청을 비롯한 국제 자연보호 연맹, CITES에서 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55][11][56][57]
217
+ 현재 국제 포경 위원회의 지침에 따라 북반구에서 큰고래의 포경이 이루어지는 곳은 그린란드이다. 그들의 고기와 제품은 그린란드 역내(域內)에서만 팔리고, 외부로의 수출은 금지되어 있다. 정확한 개체 밀도가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국제 포경 위원회는 그린란드에서의 연당 포획 분량을 19마리로 정했다.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는 국제 포경 위원회의 지침에 애초부터 반대했으므로 따르지 않는다.[3] 2006년 10월에 아이슬란드 수산부는 큰고래 9마리의 포획을 2007년 8월까지 허용했다.[58] 일본은 자체 계획에 따라 남반구에서 2005년~2006년과 2006년~2007년에 연간 10마리를 잡았다.[59] 2007년~2008년 사이의 계획에 따르면 포획 분량은 연간 50마리로 늘어나지만,[3] 2008년 4월 현재까지는 단 한 마리도 잡히지 않았다.[60]
218
+ 배와의 충돌도 큰고래를 죽일 수 있는 요소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그들과의 충돌이 잦다. 대륙붕 근처에서 빠르고 큰 배와 충돌할 때 큰고래는 가장 치명적인 상처를 입게 된다.[61]
219
+ [편집]
metadata CHANGED
@@ -1,13 +1,13 @@
1
1
  --- !ruby/object:Gem::Specification
2
2
  name: scylla
3
3
  version: !ruby/object:Gem::Version
4
- hash: 3
4
+ hash: 9
5
5
  prerelease:
6
6
  segments:
7
7
  - 0
8
8
  - 7
9
- - 0
10
- version: 0.7.0
9
+ - 5
10
+ version: 0.7.5
11
11
  platform: ruby
12
12
  authors:
13
13
  - Ashwin Hegde
@@ -15,7 +15,8 @@ autorequire:
15
15
  bindir: bin
16
16
  cert_chain: []
17
17
 
18
- date: 2011-09-21 00:00:00 Z
18
+ date: 2011-09-21 00:00:00 -07:00
19
+ default_executable: scylla
19
20
  dependencies:
20
21
  - !ruby/object:Gem::Dependency
21
22
  name: bundler
@@ -31,23 +32,23 @@ dependencies:
31
32
  - 0
32
33
  - 0
33
34
  version: 1.0.0
34
- type: :development
35
+ type: :runtime
35
36
  version_requirements: *id001
36
37
  - !ruby/object:Gem::Dependency
37
- name: jeweler
38
+ name: sanitize
38
39
  prerelease: false
39
40
  requirement: &id002 !ruby/object:Gem::Requirement
40
41
  none: false
41
42
  requirements:
42
43
  - - ~>
43
44
  - !ruby/object:Gem::Version
44
- hash: 7
45
+ hash: 15
45
46
  segments:
46
- - 1
47
- - 6
48
- - 4
49
- version: 1.6.4
50
- type: :development
47
+ - 2
48
+ - 0
49
+ - 0
50
+ version: 2.0.0
51
+ type: :runtime
51
52
  version_requirements: *id002
52
53
  description: Allows for text categorization by guessing the language of a given text using n-grams
53
54
  email: ahegde@zendesk.com
@@ -104,7 +105,6 @@ files:
104
105
  - LICENSE.txt
105
106
  - Rakefile
106
107
  - README.rdoc
107
- - scylla-0.6.0.gem
108
108
  - scylla.gemspec
109
109
  - source_texts/afrikaans.txt
110
110
  - source_texts/arabic.txt
@@ -171,6 +171,7 @@ files:
171
171
  - test/loader_test.rb
172
172
  - test/scylla_test.rb
173
173
  - VERSION
174
+ has_rdoc: true
174
175
  homepage: http://github.com/hashwin/scylla
175
176
  licenses:
176
177
  - MIT
@@ -200,7 +201,7 @@ required_rubygems_version: !ruby/object:Gem::Requirement
200
201
  requirements: []
201
202
 
202
203
  rubyforge_project:
203
- rubygems_version: 1.8.11
204
+ rubygems_version: 1.5.3
204
205
  signing_key:
205
206
  specification_version: 3
206
207
  summary: Ruby port of Textcat language guesser